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브라이언 린센

덤프버전 :

1 슈사쿠 · 2 사카이 · 3 아츠키 · 4 [[이와나미 타쿠야|이와나미]] · 5 [[마리우스 회이브로텐|회이브로텐]] · 6 [[마와타리 카즈아키|마와타리]] · 7 히로키.A · 8 요시오 · 9 린센 · 10 [[나카지마 쇼야|쇼야]]
11 칸테 · 14 세키네 · 15 아키모토 · 16 니에카와 · 17 샬크 · 18 타카하시 · 19 이와오 · 20 치넨 · 21 토모
22 시바토 · 24 미야모토 · 25 카이토 · 26 오기와라 · 27 에카닛 · 28 숄츠 · 29 호리우치 · 30 코로키
31 · 35 하야카와 · 40 유이치 · 66 아유무
감독 파일:폴란드 국기.svg 마치에이 스코르자 · 수석 코치 파일:폴란드 국기.svg 라팔 야나스 · 코치 파일:폴란드 국기.svg 보이치에흐 마코우스키 · 파일:일본 국기.svg 이케다 노부야스 ·
골키퍼 코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후안 미레트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타 구단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브라이언 린센 23시즌.pn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No. 9
브라이언 린센
Bryan Linssen
출생1990년 10월 8일 (33세)
네덜란드 니에리트터
국적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신체 170cm 체중 64kg
포지션스트라이커, 윙어
주발오른발
유스 클럽베리타스
VVV 펜로
포르튀나 시타르트
프로 클럽포르튀나 시타르트 (2008~2009)
MVV 마스트리흐트 (2009~2010)
VVV 펜로 (2010~2013)
헤라클레스 알멜로 (2013~2015)
FC 흐로닝언 (2015~2017)
SBV 비테세 (2017~2020)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20~2022)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22~)
국가대표0경기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여담
6.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네덜란드축구선수. 포지션은 공격수. 현재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서 뛰고있다.


2. 클럽 경력[편집]



2.1. SBV 비테세 이전[편집]


2008년 2부리그 포르튀나 시타르트에서 데뷔한 그는 사실 처음부터 큰 임팩트가 있는선수가 아니였고 주목도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2009년 MVV 마스트리흐트로 이적하였고 어린나이에 31경기 7골을 기록하면서 잠재력을 보인 그는 1부리그 팀들의 눈에 띄어 2010년 VVV 펜로로 이적하였고 기대를 받았다. 그러나 펜로에서의 세 시즌 동안 1부리그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고,기록을 점점 올리기는 했으나 전체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여 2013년 팀에서 방출되었다.

이후 펜로에서 자리를 잃었으나 다시 재기에 성공하여 2013년 헤라클레스 알멜로에 입단하였다. 헤라클레스 알멜로에서 약 2년간 70경기 25골 9도움을 기록하며 팀을 멱살잡고 캐리하면서 VVV 펜로에서의 부진을 말끔히 지워냈다. 이를 바탕으로 2015년, 당시 헤라클레스 알멜로보다 더 높은 클럽인 FC 흐로닝언으로 이적하였다. 그러나 2년간 70경기 16골 6도움을 기록하며 헤라클레스 시절의 파괴력이 넘친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했고 팀의 도움도 잘 받지 못하면서 결국 아쉬운영입 케이스가 되어버렸다.


2.2. SBV 비테세[편집]


FC 흐로닝언에서 사실상 실패했지만 그래도 최악의 모습까지는 아니였던 린센은 2017년 SBV 비테세의 관심을 받아 비테세로 이적하였다.

SBV 비테세팬들은 FC 흐로닝언시절의 모습을 보여줄까 걱정을 했지만 린센은 2017-18 시즌 총 44경기 19골 9도움 기록, 커리어 하이를 찍으며 모두를 놀라게 했고[1] 그 다음 시즌인 2018-19 시즌 41경기 13골 4도움을 기록, 매 시즌 두 자릿수 골을 넣으며 전성기 포텐셜이 드디어 터지는듯했고 2019-20 시즌에는 28경기 밖에 뛰지 못했지만 14골 7도움을 기록하면서 비테세에서 세 시즌간 좋은모습을 보여주면서 적어도 에레디비시에서는 정말 쏠쏠한 공격자원으로 성장하였다.


2.3. 페예노르트 로테르담[편집]


비테세에서의 세 시즌간 엄청난 활약을 바탕으로 2020년 7월, 드디어 선수생활 처음으로 네덜란드내에서는 빅클럽으로 손꼽히는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으로 이적하였다.

20-21시즌에는 38경기 출전 11골 6도움으로 비테세 시절만큼의 파괴력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필요할때마다 1인분 이상씩 해주는 선수가 되었다.

21-22 시즌 시작 후 새롭게 선임된 아르네 슬롯감독의 지도를 받으며 니콜라이 예르겐센이 빠진 주전 스트라이커자리를 메우게 된 린센은 알리레자 자한바크슈,휘스 틸,루이스 시니스테라등과 함께 페예노르트의 공격을 이끌고있다. 현재 시즌 초반이지만 14경기 7골 4도움을 기록하면서 좋은모습을 보여주고있고, 에레디비시에서 6경기 5골을 넣으면서 득점 순위 1위에 랭크되어있다.

13R PEC 즈볼러전에서도 멀티골을 넣으며 해당 경기 MOM에 선정된다.

이후 15R 포르투나 시타르트전 2골 2어시로 맹활약한다.

2021-2022 시즌 공식경기 53경기 17골 10도움을 기록하였다. 초반에는 득점페이스가 아주 좋았고 파괴력도 있었으며 득점왕 후보로 급부상할만큼 폼이 좋았지만 중반으로 갈수록 점차 에이징커브가 오며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유럽대항전 컨퍼런스 리그에서는 은 결승까지 가며 센세이셔널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정작 린센은 12경기 3골 0도움으로 살짝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2] 그래도 시즌 전체로 따지고 보면 분명 알토란 같은 활약을 해준거는 맞다.


2.4.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편집]


2022년 6월에 14년간 정든 에레디비시를 떠나 일본 J리그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 입단하였다.[3]


3. 국가대표 경력[편집]


청소년대표팀이나 성인대표팀에 단 한경기도 뛰지도 않았고 차출이 되본적도 없는 비 엘리트 선수이다.

그러나 SBV 비테세시절 보여주었던 임팩트가 있고 현재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에서 좋은모습을 보여주면서 언젠가 차출 될 수도 있지 않을까란 예상을 해본다.

결국 2021-2022 시즌에 특출난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고, 2022 시즌 여름이적시장에서 아시아 무대인 J리그로 가면서 국가대표에 차출될 가능성은 희박해졌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본래 포지션은 윙어였고, 풀백도 보는 측면 자원이였으나, 중앙 공격수로 이동하면서 기량을 만개하였다. 스피드가 빠른 유형의 공격수는 아니지만, 민첩한 오프더볼 움직임, 좋은 골 결정력과 슈팅 파워, 작은 키에서 나오는 엄청난 점프력과 헤딩 등의 에레디비시 탑급 공격수의 능력치를 보여주는 포쳐다.

다만, 도움을 주면서 받쳐줄 선수가 없으면, 존재감이 없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수비가담도 적은 편.


5. 여담[편집]




6. 같이 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일문/로마자 성명생년월일체격
1파일:일본 국기.svgGK니시카와 슈사쿠西川 周作1986.06.18183cm / 81kg
2파일:일본 국기.svgDF사카이 히로키酒井 宏樹1990.04.12185cm / 78kg
3파일:일본 국기.svgMF이토 아츠키伊藤 敦樹1998.08.11182cm / 78kg
4파일:일본 국기.svgDF이와나미 타쿠야岩波 拓也1994.06.18186cm / 72kg
5파일:노르웨이 국기.svgDF마리우스 회이브로텐Marius Hoibraten1995.01.23185cm / 77kg
6파일:일본 국기.svgDF마와타리 카즈아키馬渡 和彰1991.06.23175cm / 72kg
7파일:일본 국기.svgFW아베 히로키安部 裕葵1999.01.28171cm / 65kg
8파일:일본 국기.svgMF코이즈미 요시오小泉 佳穂1996.10.05172cm / 63kg
9파일:네덜란드 국기.svgFW브라이언 린센Bryan Linssen1990.10.08170cm / 64kg
10파일:일본 국기.svgMF나카지마 쇼야中島 翔哉1994.08.23164cm / 64kg
11파일:스페인 국기.svgFW호세 칸테Jose Kante Martinez1990.09.27184cm / 80kg
14파일:일본 국기.svgMF세키네 타카히로関根 貴大1995.04.19167cm / 63kg
15파일:일본 국기.svgMF아키모토 타카히로明本 考浩1998.01.31170cm / 65kg
16파일:일본 국기.svgGK니에카와 아유미牲川 歩見1994.05.12195cm / 90kg
17파일:네덜란드 국기.svgFW알렉스 샬크Alex SCHALK1992.08.07171cm / 68kg
18파일:일본 국기.svgMF타카하시 토시키髙橋 利樹1998.01.20182cm / 76kg
19파일:일본 국기.svgMF이와오 켄岩尾 憲1988.04.18175cm / 65kg
20파일:일본 국기.svgDF치넨 테츠야知念 哲矢1997.11.08178cm / 70kg
21파일:일본 국기.svgMF오쿠보 토모아키大久保 智明1998.07.23170cm / 62kg
22파일:일본 국기.svgMF시바토 카이柴戸 海1995.11.24180cm / 70kg
24파일:일본 국기.svgDF미야모토 유타宮本 優太1999.12.15170cm / 70kg
25파일:일본 국기.svgMF야스이 카이토安居 海渡2000.02.09174cm / 69kg
26파일:일본 국기.svgDF오기와라 타쿠야荻原 拓也1999.11.23175cm / 73kg
27파일:태국 국기.svgMF에카닛 판야Ekanit Panya1999.10.21168cm / 68kg
28파일:덴마크 국기.svgDF알렉산더 숄츠Alexander Scholz1992.10.24189cm / 84kg
29파일:일본 국기.svgMF호리우치 요타堀内 陽太2004.07.08171cm / 66kg
30파일:일본 국기.svgFW코로키 신조興梠 慎三1986.07.31175cm / 72kg
31파일:일본 국기.svgGK요시다 슌吉田 舜1996.11.28185cm / 83kg
35파일:일본 국기.svgMF하야카와 준페이早川 隼平2005.12.05163cm / 65kg
40파일:일본 국기.svgMF히라노 유이치平野 佑一1996.03.11174cm / 68kg
66파일:일본 국기.svgDF오하타 아유무大畑 歩夢2001.04.27168cm / 65kg
구단정보
사장: 타치바나 요이치 / 감독: 마치에이 스코르자 / 홈구장: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출처: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최종 수정 일자: 2023년 10월 19일




[1] 시타르트, 마스트리흐트,펜로, 헤라클레스, 흐로닝언 시절 좋은 모습을 보여준적도 많지만 2017-18 시즌 만큼 임팩트를 보여주지는 못했다.[2] 토너먼트에서부터는 조커로 나오긴 했으나 조커로 나온걸 감안하더라도 아쉬운 모습을 보여준 셈.[3] 전성기였던 SBV 피테서페예노르트 시절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폼을 조금만 더 끌어올린다면 나이는 많은 편이지만 페예노르트에서의 롱런이나 또는 유럽의 다 수 빅리그에서 뛸만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갑작스럽게 아시아 무대인 J리그로 넘어가서 아쉽다는 현지팬들이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8:45:16에 나무위키 브라이언 린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